프랑스 화장품 브랜드인 L사의 마케팅 담당 김모씨는 얼마 전 "사용 후기를 잘 써줄 테니 제품을 협찬해달라"는 '뷰티 블로거'의 요청을 받았다. 김씨는 "어쩔 수 없이 수십만원 상당의 제품 협찬을 했다"고 말했다.

김 씨로서는 유쾌한 일이 아니었지만 사실 화장품업체들은 이런 협찬을 즐기는 측면이 있다. 블로거들에게 제품을 제공하면 제품 사용기가 수백건이 올라온다. 블로거들을 최고급 호텔에 모아 놓고 고가의 음식을 제공하는 업체들도 적지 않다. 블로그들을 모아 해외여행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숙박·관광요금은 당연히 업체가 낸다. 한 외국계 업체 관계자는 "본사에 상품평에 대해 보고해야 하기 때문에 돈이 아깝지 않다"고 말했다.


◇파워블로거에 해외여행 등 제공

기업과 '인터넷 권력'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식으로 공생(共生)하는 것은 이미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특정 제품의 공동 구매를 알선하고 그 대가로 거액의 수수료를 받고도 이를 알리지 않은 파워블로거들에게 과태료를 부과한 것은 인터넷 권력 부패상의 일단을 드러냈을 뿐이다. 인터넷에서 개인의 생각과 정보·경험을 공유하는 공간인 블로그 중 상당수는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

과거 네티즌들은 인터넷에 올라 있는 정보는 기업이 장삿속에 만든 광고와 다르다고 생각했다. 광고는 믿지 않지만 블로그나 인터넷 상품평은 믿는 사람이 많았다. 이런 상황을 포착한 기업들이 블로그 등 인터넷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해 물건을 파는 방법을 생각했다. 그 결과가 파워블로거를 비롯한 '인터넷 소문 권력'과 기업 공생관계다.

돈을 받고 인터넷에 글을 쓰는 시장도 생겼다. 영어 학습기, 여행용품, 아동용 완구 같은 소비재에 대한 글을 자기 블로그에 올리면 1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 반면 IT 제품처럼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는 경우에는 글 하나에 100만원을 받을 수도 있다. 일부 기업은 '돈을 받고도 입맛대로 안 써주거나 경쟁사 제품을 홍보한 블로거' 명단을 관리하기도 한다.

블로그 마케팅업체의 한 팀장은 "IT 분야의 대기업 A사는 내부적으로 '블랙리스트'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블랙리스트란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고 제품 리뷰를 쓰면서 제대로 안 써주고 오히려 삐딱하게 쓴 경험이 있는 블로거의 명단이다. 이들에게 일감을 안 주겠다는 것이다.

◇기업·파워블로거 합작이 만든 비리

기업들이 아예 인터넷 제품 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 체험단이다. 요즘 인터넷 여기저기에서 '제품 체험단'을 모집한다는 광고를 볼 수 있다. 체험단은 제품을 써 보고 그 후기·사용기를 인터넷에 남기는 사람들이다. 체험이 끝난 후에도 그 제품은 체험단 참가자가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할인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경우도 있다. 중소기업뿐 아니라 삼성전자·LG전자 같은 대기업도 체험단을 운영한다.

문제는 체험단에 참여한 사람들이 악평을 남기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를 악용하는 기업도 생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안마기를 판매하는 B사는 벌써 10회 이상 체험단을 모집하고 있다. 체험용 제품을 챙긴 사용자들은 네이버 등 유명 포털에 상품평을 남긴다. 이후 회사는 포털에 대대적인 광고를 한다. 광고를 본 사람들이 포털에서 제품을 검색하면 나타나는 호평을 보고 제품을 사는 식이다.

처음 선의로 인터넷에 정보를 올리던 블로거들이 상업적으로 변질된 것은 인터넷 포털업체들이 파워블로거를 선정하면서 본격화됐다는 평가다.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은 2008년 파워블로거를 선정하기 시작했다. NHN은 매년 글 게재 건수와 방문자 수 등을 고려해 파워블로거 수백명을 선정·발표한다.

이번에 공정위는 네티즌을 속인 파워블로거에 과태료를 매겼다. 이들이 모두 네이버 파워블로거 출신이다. 4명 모두 2008년부터 3년 연속 파워블로거로 선정된 인물들이다. 포털이 파워블로거에 힘을 실어 주고 불법 행위가 벌어질 여건을 만들어 줬다는 평가다. 포털측은 "일부가 문제일 뿐 대다수 블로거는 순수하다"고 해명한다.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한 인터넷 콘텐츠업체 대표는 "사람들이 모이면 이권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원가를 공개하고 진행한 공동 구매라도 이를 진행한 블로거가 정말 아무것도 받지 않았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제품 1개 원가는 10만원이라도 100개를 팔면 구매가격의 일부를 블로거에게 주는 이른바 '역마진'으로 50만원 정도를 받는 것이 관례"라는 설명이다.

일부 기업들은 체험단이나 블로그를 이용한 홍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체험기를 쓴 블로거에게 체험용 제품을 증정했을 경우 블로그에 삼성전자에서 제품을 받았다는 것을 명시하도록 했다.

    조선비즈 - 백강녕 기자 - 입력 2011.11.15 03:01 - 수정 2011.11.15 10:11


P.S : 조선일보가 그래도 일등인 이유는 이런 기사를 제일 빨리 쓰기 때문. 그 잘난 진보를 자처하고 민주주의를 자처하는 언론은 이걸 몰라서 안쓰는가? 마지막에 삼성전자 칭찬으로 삼성에 대한 아부를 빼놓지 않는 센스까지! 이것이 바로 일등의 비결.
Posted by 커피중독인
,